Laboratory
-
Moebius Architecture - Phase 2Laboratory/Moebius 2020. 11. 12. 08:38
안녕하세요. Phase 1을 작성하고 나서 4개월이 지나서야 다시 Moebius project 관련 글을 작성하게 됐습니다. ^^; 이번에 다룰 내용은 프로젝트를 확장해나가면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컴포넌트들을 분리했는지에 대한 것들입니다. 그리고 Monolithic Architecture와 흔히 사용하고 있는 MSA, 즉 Microservice Architecture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Phase 1에서 구성했던 Architecture에서, 한 컴포넌트에서 너무 많은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했었다. 그래서 단일 컴포넌트를 다중 컴포넌트로 우선순위에 따라 분리를 해나가야 하는데, Phase 2에서는 가장 변화가 많은 부분을 별도 컴포넌트로 분리하기로..
-
Moebius Architecture - Phase 1Laboratory/Moebius 2020. 7. 18. 01:45
안녕하세요. Moebius 소개글을 작성한 지 3개월이 지나서야 드디어 실질적인 첫 글로, 아키텍처에 대해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단순히 아키텍쳐를 소개하는 것을 넘어서서, Software Architecture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한 내용도 다뤄 볼 예정입니다. 글을 쓰고 있는 이 시점을 기준으로, Moebius의 아키텍처는 여러 단계에 걸쳐서 조금씩 개선, 확장되어 왔습니다. 그래서 하나의 글로 쓰기에는 다룰 분량이 많아, 다작으로 나눠서 작성할 예정입니다. 이제 시작해보겠습니다. ^^; Moebius를 시작했을 때, 소개글에서 잠깐 언급했지만 처음에는 첫 서비스(비지니스) 모델인 암호화폐 투자 보조에 집중한 플랫폼을 만들고자 했다. 그래서 거창하게 생각할 것 없이 거래소 하나만 대상으로 잡고 Po..
-
IntroductionLaboratory/Moebius 2020. 4. 11. 16:43
안녕하세요. 오래전부터 여러가지 크고 작은 프로젝트들을 진행하면서, 프로젝트를 통해 익히게 된 것들을 공유하고 싶었는데요. 그래서 2018년 11월부터 시작한 프로젝트인 Moebius로 첫 삽을 뜨기로 했습니다. 실은 이 폴더를 만들어 놓은지도 한참 됐는데 이제서야 첫 포스팅을 하게 됐네요. ㅠㅠ 편의상 프로젝트 관련 글에서 높임말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 처음에 관광 스타트업에서 백엔드 프로그래머로 일할 때가 생각난다. 무려 5년전인데, 나는 그때 네이티브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백엔드 서버를 개발하고 있었다. 트래픽은 별로 나오지 않았지만, 그래도 직접 ERD를 만들어보고, 상용 Restful API 서버 만들어 볼 수 있는 귀중한 경험이었다. 그곳에서 약 1년의 시간이 흐..